postman api 테스트

request 추가하기

1. Post 방식

(?) post방식이란? : 게시판에 글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Method 종류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역시 정확한 개념은 구글링)
 
1) 호출 방식 Post 선택

 

2) api url 입력
3) 게시글 데이터 입력
4) 호출
 

- 위 이미지 내용을 풀이하자면, 게시글 등록 api(url)을 호출하여 작성한 게시글(하단 json 형식 문자)를 해당 서버 db에 저장한다라는 의미입니다.

 

 

 

2. 호출 후 응답값 확인

1) 어떤 상태 코드를 받았는지 확인 > 정상 201 Created 응답 받음
- (?) 201 응답은?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며, 자원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는 성공 상태 응답 코드 (구글링하면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2) 작성된 데이터 확인 > json 응답 데이터 확인
 
- 위 이미지 내용을 풀이하자면, "http://localhost:3000/posts/ url을 post 방식으로 호출했고, 서버에 등록 요청한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생성했다" 로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게시판에 게시글 작성 후 [작성] 버튼을 눌렀을 때 상황으로 보시면 됩니다.
 
 

3. 오류가 발생된 경우는?

- 중복된 id값으로 등록을 요청할 경우 서버 오류
(같은 게시판에 제목이 같을 순 있어도 해당 게시물의 고유한 id값은 중복될 수 없습니다.)
1) 어떤 상태 코드를 받았는지 확인 > 에러 500 server error 응답 받음 (에러 코드는 이전글 참고)
2) 서버에서 해당 에러에 맞는 메세지 응답
 

- 위 이미지 내용을 풀이하자면, 위 2번에서 호출했던 데이터를 수정없이 다시 한번 요청한 경우 동일한 id값으로 등록 요청이 한번 더 왔으므로 오류가 발생된 상황입니다.

- 여담으로 프론트엔드 개발 시 서버에서 내려온 에러 코드&메세지를 참고해서 사용자에게 디자인된 오류 팝업 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4. Post로 등록된 게시글(데이터) 확인 하기

1) get 방식으로 3번에서 등록한 게시글(id: 102)를 호출합니다.
2) 정상 응답 유무를 확인하여 id:102에 맞는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 위 이미지 내용을 풀이하자면, 2에서 등록한 id:102를 get 방식으로 url에 id값까지 넣고 호출했고, 해당 id에 해당하는 내용(게시글) 응답이 내려온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게시판에서 id : 102 글을 클릭할 때, 프론트에서 서버로 get방식 id:102를 호출하고 응답 온 데이터(타이틀 / 본문 등)를 이용해서 게시글 상세 화면을 만들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초간단 poestman을 이용한 get/post 테스트에 대해서 작성해봤습니다.
현재 업무로 기능 QA을 하는 입장에서 빠른 시간 내 로그 확인 용도로 사용할 정도 수준으로 작성 했고 api test를 전문으로 하시는 분들은 잘 정리된 다른 블로그 내용 구글링 하시기 바랍니다.
 
 
이어서 postman으로 api testcase 생성 > 수행 > 결과 리포트까지 받아보는 과정을 공유드리겠습니다.
 
 

'Postm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man을 사용한 api 테스트 (2)  (0) 2023.11.04
postman을 사용한 api 테스트 (1)  (0) 2023.1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