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man api 테스트
request 추가하기
0. 들어가기 앞서..
아래 내용들은 제가 기능QA를 업무를 진행하면서 실제로 수행했던 테스팅 방법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다소 전문적이지 않고 부족한 글이지만 딱 실무자 입장에서 이정도면 된다. 라는 느낌으로 작성하는 부분이니 참고만 해주시면 됩니다.
1. 테스트할 api 메소드 선택 및 api url 입력
1-1. GET 방식
(?) get 방식이란? : 간단하게 게시판 접근 시 게시물을 불러올 때 사용하는 Method 종류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정확한 개념은 구글에 치면 나오니 해당 글 참고)
1) 호출 방식 선택
2) api url 입력
3) 호출

- 위 이미지 내용을 풀이하자면, get 방식으로 작성된 url을 호출한다라는 뜻입니다.
정상 호출 여부에 따라 응답값이 서버에서 내려올 거고 저희 QA는 해당 api에서 정상적인 응답이 오는지 체크하면 됩니다.
2. 호출 후 응답값 확인
참고) 저는 간단하게 개인 서버를 띄운 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1) 호출 후 받은 응답은 하단 영역에 노출
2) 어떤 상태 코드를 받았는지 확인 > 정상 200 ok 응답 받음
3) 응답값으로 내려온 데이터 노출 > userId, id, title, body 필드로 구성된 json 형식의 응답을 받음

- 위 이미지 내용을 풀이하자면, "http://localhost:3000/posts/1 url을 get 방식으로 호출했고, 서버에서 아래 값(userid, id, title, body) 응답을 내려줬다." 로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게시판에 게시글 중 1번 게시글을 눌렀을 때 내려온 상황입니다.
3. 테스트 결과 공유
[참고 네트워크 응답 코드]
-
응답 코드 내용 중요도
(상/중/하)1xx(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 하(본적 없음) 2xx(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 상(맨날 봄) 3xx(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 하(어쩌다 한번) 4xx(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상(맨날 봄) 5xx(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한 충족을 실패 상(맨날 봄)
- 테스트 종료 후 위 응답 코드를 기준으로 담당 개발자에게 전달하거나 200 ok면 결과에 pass를 넣고 넘어가면 됩니다.
- 참고로 보통 기능 QA에서 확인 가능한 응답 코드는 200 / 401 / 404 / 500 정도이고 그 외 것들은 테스트 하면서 보기도 힘들지만 만약 보게 돼도 외울 필요 없이 인터넷 검색하면 1초면 결과나 나오니 검색을 추천 합니다.
[응답 코드에 따른 대응]
응답 코드 | 내용 | 예시 |
200 | 정상 응답, 데이터가 제대로 넘어왔는지 추가 검증을 진행하면 된다. | 게시물 제목에 본문 내용이 나오거나, 문자열 깨지거나 등 |
401 | 에러, 특정 권한이 필요한 호출에 권한 없이 시도한 경우 발생 > 본인 환경 먼저 점검 후 개발자 문의 |
로그인 안한 유저로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한 메뉴 등 호출 시 발생 |
404 | 에러, 요청한 페이지 없음 > 서버 개발자에게 확인 요청 필요 (환경 문제인지 확인) |
url 오타(없는 url) 또는 아직 배포 전 url(배포전이라 아직 없음) 호출 시 종종 발생 |
500 | 에러, api요청은 성공했으나 서버에서 못내려줌 > 서버 개발자에게 확인 요청 필요 (이슈) |
게시글 접근 시 오류로 접근이 불가능함 |
4. get 방식을 마치며
- api 호출 시 파라미터, 헤더값 조작 등 다양한 방식으로 테스트가 가능하지만 이 글에선 가장 기초적이면서 기능 QA 중 중간중간 간단하게 api 테스트를 진행하고 내려온 응답값(로그)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작성했습니다.
post 방식은 다음에 이어서..
'Postm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man을 사용한 api 테스트 (3) (0) | 2023.11.05 |
---|---|
postman을 사용한 api 테스트 (1) (0) | 2023.11.04 |